-
목차
반응형2025년 7월 28일(월) 코스피·코스닥 시황과 외국인 매수·매도 추이, 특징주 흐름을 정리했습니다. 삼성전자 수주 호재, 조선·자동차 강세, SK하이닉스 하락 등 시장 주요 이슈를 종합 분석합니다.
2025년 증시 이슈 한눈에! 오늘(7/28) 특징주와 시장 전망 총정리
2025년 7월 28일 (월) 코스피·코스닥 시황
-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1.61포인트(+0.05%) 상승한 3,197.66pt로 출발했지만, 3228pt까지 상승 이후 장중 상승폭을 줄이며 보합권 등락하고 있습니다.
-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0.12%, 806.01pt로 마감. 장 초반 811pt까지 올랐으나 하락 전환했습니다.
- 환율은 원/달러 1,381.0원으로 전일 대비 약 3.1원 상승, 수출입 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거래 주체별 흐름
- 개인 투자자는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450억 원 순매수, 시중 투자심리 주도.
- 외국인 투자자는 약 410억 원 순매도, 코스피200 선물시장에서도 794억 원 규모의 매도세를 기록.
- 기관 투자자는 108억 원 매도 우위를 보였습니다.
대외 변수와 시장 흐름 요인
- 장은 한미 무역 협상 경과를 주시하는 분위기 속에서 제한적 등락세. 특히 한·미 간 통상협의 일정(25일 연기, 이번 주 예정)이 시장 불확실성을 높였습니다.
- 미국과 EU 간 상호관세율을 기존 30%에서 15%로 낮추는 협상 타결 발표는 글로벌 리스크 일부 완화 요인이었습니다.
특징주 정리
▸ 상승 종목
- 삼성전자 : 글로벌 대형 고객과 약 22조 7,648억 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2.43% 상승.
- LG에너지솔루션 : +4.26%, 전고체 배터리 등 성장 모멘텀 기대.
- 현대차 및 기아 : 각각 +0.92%, +1.06%, 미국 관세 협상 관련 조치 예상에 따른 모멘텀.
- 조선업종 : 한화오션 +4.67%, HD현대중공업 +6.52% 등 한·미 협상 과정에서 조선 협력 논의가 나온 영향이 반영됨.
▸ 하락 종목
- SK하이닉스 : –1.88%, 반도체 업황 우려 지속.
- 삼성바이오로직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B금융, 신한지주 등도 –0.5%에서 –3.65% 수준 하락.
- 업종별로 전기가스(+2.24%), 전기전자(+1.71%), 운송장비(+1.46%)가 상승했고, 증권(–3.02%), 유통(–1.31%)은 약세였습니다.
반응형외국인 수급 요약
- 코스피 현물 시장에서 외국인의 순매도 규모는 약 410억 원, 선물시장에서도 강한 매도세 (794억 원)가 나타남.
- 개인 투자자가 이탈하지 않았으나, 외국인의 선물 중심 매도는 지수 상승 제한 요인으로 작용.
- 최근 외국인은 대형주 중심의 방향성 강한 매매 패턴을 보이며 국내 증시에 큰 영향력 행사 중입니다.
종합 평가 및 향후 전망
- 한미 무역협상 흐름이 단기 증시 방향의 최대 변수임.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수출 관련 업종과 전체 시장 반응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
- 외국인의 매도세 집중 (특히 SK하이닉스·삼성전자 선물 등 선물 중심) → 투자심리 위축 요인.
- 개인이 매수 주체로서 시장 떠받침, 단기 반등 가능성 유지.
- 이익 실현 수요가 나온 대형 기술·바이오주는 조정, 대신 조선, 자동차, 배터리, 전기전자 업종이 상승 우위.
- 다음주 예정된 협상 일정과 기업 실적 발표(2분기 실적 시즌 대기)가 시장 전반에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음.
정리 표
항목 요약 내용 코스피 3,197.66pt, 소폭 상승 코스닥 806.01pt, 소폭 하락 외국인 수급 현물 –410억 원, 선물 –794억 원 매도 중심 개인 수급 약 +450억 원 순매수 주요 상승 업종 조선, 자동차, 전기전자 등 주요 하락 업종 반도체(SK하이닉스), 바이오, 금융 등 대외 변수 한·미 무역협상 주시, 환율 상승 ※ 이번 장세 요약하자면,
외국인의 매도세가 주가 상승 흐름을 제어하고 있지만, 개인 매수세가 일부 방어하며 조선·자동차·배터리 위주로 업종별 확대. 한·미 협상 결과와 2분기 실적이 다음 주 핵심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노후 준비, 연금으로 월 300만 원 만들기 : 현실 포트폴리오 전략
2025년 기준, 부부 노후생활비는 월 253만 원.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까지 지금 준비해야 할 노후 연금 포트폴리오 전략을 현실적으로 제시합니다. 노후연금, 월 253만원 없으면
moneyback-25.sanisanee.com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자격부터 사용법까지 Q&A
2025년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가장 많이 묻는 질문 13가지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신청 자격, 지원금 사용처, 카드 조건, 유의사항까지 실질적 답변을 확인하세요.2025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
moneyback-25.sanisanee.com
반응형'Financial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 준비, 연금으로 월 300만 원 만들기 : 현실 포트폴리오 전략 (4) 2025.07.28 2025 밈 주식 리스트·급등 이유·주의사항 완벽 정리 (4) 2025.07.27 정부 세제개편에 ETF 자금 쏠림… 배당소득 분리과세 효과는? (2) 2025.07.26 2025 세제개편안 핵심 분석 : 증권거래세·양도세·배당 분리과세 (3) 2025.07.26 2025 상반기 IPO 시장 총정리 : 코스닥은 활발, 코스피는 왜 침체됐나? (1) 202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