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Information

2025 하반기 코스피, 하락 신호인가? 외국계 시선 집중 분석

내꿈은주식부자 2025. 8. 5. 10:34
반응형

 

미국 고용보고서 충격과 한국 세제개편안에 대한 외국계 반응으로 코스피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하반기 증시 전망과 주요 변수, 투자자 주의점까지 상세히 정리한다.

 

2025 하반기 코스피 어디로?…외국계 시각과 세제개편안 리스크 분석

2025 하반기 코스피, 하락 신호인가? 외국계 시선 집중 분석

 

반등은 있었지만…“지금은 잠시 쉬어갈 때”

8월 1일 코스피가 큰 폭으로 하락한 후, 4일에는 0.91% 반등하며 기계적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이 반등이 추세적 상승으로 이어지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시장 안팎에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외국계 증권사들은 한국의 세제개편안에 실망감을 나타내며 한국 증시에 대한 투자 비중을 줄이고 있고, 미국발 고용지표 쇼크는 글로벌 증시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외국계 시각 : "채찍은 있고 당근은 없다"

모건스탠리 : “정책 신뢰 약화 시 밸류에이션 재평가 어려워”

  • 모건스탠리는 향후 3~6개월 코스피 밴드를 2850~3300으로 제시.
  • 현재 코스피가 3147.75임을 감안하면 하방 위험이 더 크다는 의미다.
  • 정부의 세제개편안이 증시 친화적이지 않다고 지적하며, 지배구조 개편이나 자본시장 개혁과 같은 구조적 모멘텀 약화를 우려.

골드만삭스 : “세제 확대와 정치 리스크가 투자심리 훼손”

  • 세금 정책의 불확실성과 정치 이슈가 글로벌 자금의 투자 판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언급.

씨티은행 : 한국 비중 ‘다소 확대’ → ‘중립’으로 하향

  • 글로벌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에서 한국의 비중을 축소.
  • 세제개편안이 단기 수익률이나 기업 배당 정책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우려.

CLSA(홍콩계) : “채찍은 있고 당근은 없다”

  • 세제개편안이 증시를 자극할 ‘인센티브’ 없이 규제 위주의 개편이라며 매도세를 자극할 가능성을 경고.

 

세제개편안, 무엇이 문제인가?

핵심 이슈 : 배당소득 분리과세 후퇴

  • 하나증권은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통과되지 않을 경우, 증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사라질 수 있다고 분석.
  • 이재만 연구원은 원안대로 통과된다면 코스피가 3710까지 상승할 여력이 있지만, 통과되지 않으면 상단은 3240 수준이라고 제한적 전망.

 

반응형

미국발 변수 : 고용지표 쇼크와 증시 조정

미국 고용보고서가 준 충격

  • 8월 1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 고용보고서 결과에 따라 나스닥은 2.24% 급락.
  • 이후 4일 닛케이225도 1.25% 하락하며 글로벌 증시 동반 조정.

그러나 작년 8월 같은 패닉은 없을 것

  • 작년 8월 5일, 코스피는 BOJ 긴축 우려와 미국 고용 쇼크가 겹치며 하루 8.8% 폭락했지만,
  • 이번엔 실업률은 안정적이며 금리 인하 가능성도 남아 있어 패닉셀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계절성 리스크 : 8~9월은 ‘약세 구간’

  • 과거 10년간 코스피는 2020년을 제외하면 7월 말 이후 8~10월 동안 조정장이 반복됨.
  • 특히 9월은 ‘가을철 부진’이 집중되는 시기로, 작년에도 8월 -4.14%, 9월 -3.28% 하락.
  • IBK투자증권 변준호 연구원은 7월 말 코스피 3245 기준, 연말까지 3060까지 조정될 가능성을 제시.

 

하반기 코스피 전망 : 다시 실적장 or 정치 리스크?

전망기관 코스피 하단 코스피 상단 근거 요약
모건스탠리 2850 3300 세제개편안 실망 및 정책 신뢰 약화
하나증권 3060 3710(원안 통과 시) / 3240(통과 안될 시) 배당소득 분리과세 여부가 핵심 변수
IBK투자증권 3060 - 여름 랠리 후 계절성 조정 예상
CLSA - - 정책 실망 매물 출회 가능성 경고
 

투자자 체크포인트 5가지

  • 정책 리스크 점검 : 세제개편안의 국회 통과 여부에 주목
  • 금리 인하 시그널 확인 : 9월 FOMC 전까지 미국 고용·물가 지표 주목
  • 외국인 수급 동향 주시 : 외국계 증권사들이 투자 비중을 축소 중
  • 8~9월 계절적 약세 대비 : 조정 가능성에 따라 포트폴리오 조정 필요
  • 기업 실적 모멘텀 주시 : 하반기에는 실적 중심의 종목 선택 중요

 

결론 : '당분간은 방어적 전략, 4분기 반등에 주목'

지금의 코스피 반등은 기술적 반등에 불과하다는 시각이 강하다. 세제개편안이라는 정책 리스크, 미국 고용시장 변화, 계절적 조정 등은 하반기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현실화되고, 세제 논의가 긍정적으로 전개된다면 연말에는 재차 상승세가 펼쳐질 가능성도 남아 있다. 지금은 지나친 낙관도 비관도 아닌, 신중한 관망 전략과 리스크 관리가 핵심이다.

 

 

 

2025년 8월 4일 증시 시황 총정리 : 외국인 순매수에 코스피 3,155 돌파

2025년 8월 4일 한국 증시는 미국 고용 충격 속에서도 외국인 자금 유입과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코스피 3,155선 상승 마감. 섹터별 특징주, ETF 수급 동향, 외국인 순매수 종목까지 총정리. “외국인

moneyback-25.sanisanee.com

 

 

2025 세제개편안 핵심 분석 : 증권거래세·양도세·배당 분리과세

2025년 정부 세제개편안이 곧 발표됩니다. 금투세 폐지 이후 거래세·양도소득세·배당소득 분리과세 등 주요 이슈의 변화 내용과 증시에 미치는 영향, 투자자 대응 전략을 정리합니다. 1400만 개

moneyback-25.sanisane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