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반응형2025년 8월 12일 코스피·코스닥은 장중 상승 후 하락 마 8.12 증시브리핑: 외국인 매도 전환과 특징주 정리 감했습니다. 미국 CPI 발표를 앞둔 경계심리와 외국인 매도세가 지수 하락을 이끌었고, 특징주는 방산주·2차전지 종목군이었습니다. 오늘의 증시를 종합 분석합니다.
[오늘의 증시] 잠깐의 반등, 결국 흔들린 증시…8월 12일 시장엔 무슨 일이?
- 장중 강세 후 하락 전환…미국 CPI 발표 앞두고 경계감 확대
오늘의 증시 한눈에 보기
구분 수치(변동폭) 코스피 3,189.91 (▼16.86, –0.53%) 코스닥 807.19 (▼4.66, –0.57%) 원/달러 환율 1,389.9원 (▲1.9원) 외국인 수급 코스피 순매도 전환 특징 업종 2차전지 혼조, 방산 약세, 통신·바이오 반등 주요 이슈 코스피 순매도 전환 코스피·코스닥 흐름 요약
2025년 8월 12일 한국 증시는 장 초반 상승 출발했으나 장중 하락 전환하며 결국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소폭 하락세로 마감했다.
- 코스피는 장 초반 3,220선까지 오르며 긍정적 흐름을 보였으나,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 경계 심리가 강해지면서 하락 전환했다.
- 코스닥 역시 장 초반 812pt를 돌파했으나, 기관 중심의 매도세로 상승폭을 반납하며 807pt선에서 마무리됐다.
- 환율은 1,389.9원으로 올라, 외국인 투자심리를 압박하는 요소가 됐다.
투자자별 수급 흐름
- 오전 시가 초반
– 개인 393억 원, 외국인 194억 원 순매수, 기관은 385억 원 순매도로 출발하며 개인과 외국인이 장 초반 상승을 견인했다. - 장중 이후 변화
– 오후 장 마감 기준으로는 외국인 594억 원, 기관 972억 원 순매도, 반면 개인 628억 원 순매수로 돌아섰다. - 플랫폼 게임 수급 패턴
– 기관·외국인은 카카오 집중 매수, 반대로 개인은 네이버 집중 매수, 투자자별 선택이 극명한 모습이다.
주요 업종 흐름
- 플랫폼주 : 카카오 강세, 네이버 조정세
– 위 수급 흐름과 맞물려, 카카오 주가 강세, 네이버는 하락 흐름이 이어졌으며 투자자 성향에 따라 수급 차이가 두드러졌다. - 2차전지, 오락·문화, 금융 등 코스닥 강세
– 전일(8/11) 코스닥에서는 오락·문화 +3.3%, 금융 +2.1%, 금속 +1.9% 등 업종별 상승세가 뚜렷했으며, 외국인·기관 수급이 견조하게 유입됐다. - 정치·세제 리스크에 따른 전반적 경계감
– 최근 정부의 법인세 및 거래세 인상 발표 등 정책 불확실성이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증시 전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반응형수급 동향 : 외국인·기관 중심 매도
투자 주체 수급 방향 비고 개인 순매수 장 초반 상승세 주도 외국인 장중 순매도 전환 환율 상승·글로벌 긴축 경계감 기관 꾸준한 순매도 특히 코스닥서 뚜렷한 매도세 - 외국인은 전일에 이어 장 초반 IT, 반도체 중심 매수세를 보였으나, 선물 시장 변동성과 환율 급등세로 인해 매도세로 돌아섰다.
- 기관은 전반적으로 실적 발표 시즌을 앞둔 차익 실현성 매도를 확대하고 있는 분위기다.
특징 섹터 및 종목
상승 종목·업종
- 셀트리온 3형제 : 기술적 반등 및 단기 저가 매수세 유입.
-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주 : 배당 기대감과 방어주 역할 부각.
- 삼성SDI : LG엔솔 부진 속 선방, 2차전지 내 차별화 흐름.
하락 종목·업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 등 방산주 : 단기 이슈 소멸과 기관 차익 매물 출회.
- 에코프로비엠·포스코퓨처엠 : 2차전지 업종 전반 조정세.
- 우리기술 : 장중 4% 이상 급락, 테마주 변동성 주의 필요.
시장 관심주
- 카카오·네이버 : 기술주 조정 속 강보합.
- SK하이닉스 : 외국인 수급 변화에 따라 등락 폭 확대.
특정 이슈 & 특징주
- 엔씨소프트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 2분기 매출 3,824억 원(+4%), 영업이익 151억 원(+71%) 공시. 주가 장초반 +12% 급등하며 시장의 큰 관심을 받았다. - 아리바이오 vs 후지레비오 협력 확대
– 후지레비오와 신경퇴행성질환 진단기술 개발 협력 강화 발표, 투자자 관심 유입. - 한국항공우주 실적 기대감
– 하반기 납품 증가로 실적 개선 기대, BNK투자증권이 목표주가를 상향하며 ‘매수’ 의견 유지. - KODEX 금융고배당 TOP10 ETF 신규 상장
– 고배당 금융주에 집중 투자하는 ETF 출시로 금융 수요주에 대한 관심도 확대 중입니다
대외 변수 및 투자심리
미국 CPI 발표 대기
- 8월 13일(현지시각) 발표 예정인 7월 CPI 지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 시기 지연 우려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 최근 미국 노동시장과 소비지표가 강세를 보이면서 물가가 예상보다 덜 꺾일 가능성이 제기돼, 투자자들의 위험회피 성향이 강화되었다.
미국 증시 하락 여파
- 전일 뉴욕증시는 나스닥과 S&P500 지수가 각각 –1% 내외로 하락하면서 기술주 전반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
종합 정리 및 향후 체크 포인트
오늘 증시는 장 초반 강세 출발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변수에 영향을 받아 약세로 마감되었다.
특히 환율 상승, 미국 경제지표 발표 대기, 외국인 매도세 전환 등 리스크 요인이 지수를 끌어내린 모습이다.단기 체크포인트
- 8월 13일 미국 CPI 발표 결과
- 외국인 수급 흐름 전환 여부
- 2차전지·반도체 업종의 실적 발표
- 중국 경기부양책 발표 여부
- 환율 추세와 외국인 자금 유입 경로
마무리 코멘트
2025년 8월 12일은 상승 기대감과 글로벌 불확실성이 충돌한 하루였다.
장 초반 기대감은 높았지만, 외부 변수 앞에서 다시 한번 투자심리가 움츠러든 셈이다.
당분간은 글로벌 경기 지표 및 수급 변화에 따라 지지력 테스트 구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반응형'Financial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8월 13일 증시 시황 총정리 : 코스피·코스닥 반등과 외국인 매수세 (1) 2025.08.13 고배당·급등주… 유튜브 추천주 투자 실패 원인과 교훈 (4) 2025.08.13 2025년 8월 11일 증시 시황 분석 : 박스권 장세 속 외국인 매수세와 세제 개편 변수 (3) 2025.08.11 2025.08.07 증시 시황 총정리 : 코스피 3,200선 회복, 반등 신호일까? (7) 2025.08.07 고용지표 충격에 휘청인 비트코인, 8월 약세장의 역사 반복되나? (5) 2025.08.05